• 티스토리 홈
  • 프로필사진
    imaginaring
  • 방명록
  • 공지사항
  • 태그
  • 블로그 관리
  • 글 작성
imaginaring
  • 프로필사진
    imaginaring
    • 분류 전체보기 (66)
      • 프로그래밍 (30)
        • 알고리즘 자료구조 (0)
        • 문제풀이 (0)
        • 기록 (3)
        • Java (4)
        • 스프링, JPA, MyBatis (11)
        • JS, 리액트 등 웹 프론트 (11)
        • 파이썬 (1)
      • DB (1)
        • MySQL (1)
      • 네트워크 (6)
        • AWS (2)
        • NCP (0)
        • 클라우드 공통 (2)
        • 네트워크 (2)
      • OS (9)
        • 리눅스 (8)
        • 윈도우 (1)
      • 게임엔진 (4)
        • 유니티 (0)
        • 언리얼 (4)
        • 그래픽스 (0)
      • 프로젝트 관리 (0)
        • Git & SVN (0)
      • 사이드 프로젝트 (0)
        • 외주 (0)
        • 아이디어 (0)
        • 기록 (0)
      • 프로젝트 (0)
      • 자격증 (15)
        • 리눅스마스터 (14)
        • SQLD (1)
        • 정보처리기사 (0)
        • 네트워크관리사 (0)
        • CCNA (0)
        • AWS SAA (0)
        • NCP (0)
      • 생활수학 (0)
      • 일상 (1)
        • 여행 (0)
        • 바이크 (0)
        • 기타 (1)
  • 방문자 수
    • 전체:
    • 오늘:
    • 어제:
  • 최근 댓글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최근 공지
        등록된 공지가 없습니다.
      # Home
      # 공지사항
      #
      # 태그
      # 검색결과
      # 방명록
      • 프로세스 및 메모리
        2025년 01월 13일
        • imaginaring
        • 작성자
        • 2025.01.13.:34

        PID : 프로세스 ID

        PPID : 부모 프로세스 ID

         

        • 프로세스 상태
          • R (Running) - 실행 중이거나 실행 준비 상태
          • S (sleep) - 대기상태, 특정 이벤트 대기
          • D - 중단할 수 없는 대기 상태, 주로 I/O 작업 대기
          • Z (zombie) - 자식 프로세스가 종료되었지만 부모 프로세스가 종료상태를 수집하지 않은 상태
        ps -ef  # 모든 프로세스에 대한 상세 정보
        ps aux  # 사용자의 모든 프로세스 정보
        
        top 	# 실시간으로 시스템의 프로세스와 메모리 사용량을 모니터링.
        htop 	# top의 대체, 보다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 제공.

         

         

        프로세스와 커널의 메모리 상호작용

        • 프로세스가 메모리 요청시, 커널은 가상 메모리 주소를 할당해줌
        • 프로세스는 이를 실제 메모리처럼 사용하지만, 물리메모리의 실제 할당과 관리, 페이지 교체는 커널이 처리함
        • 프로세스가 특정 프로그램을 실행하려면 필요한 라이브러리들이 메모리에 로드됨
          • 라이브러리 확인 ldd ( ldd /usr/bin/ls)

         

        메모리

        • 가상 메모리: 프로세스가 사용할 수 있는 논리적인 메모리 공간. 시스템의 물리 메모리 외에도 디스크의 스왑 공간을 포함하여 사용
        • 물리 메모리: 실제 하드웨어 RAM. 프로세스가 직접 접근할 수 없는 공간으로, 커널이 이를 관리함
        free -h  			# 메모리 사용량을 사람이 읽기 쉬운 형태로 표시
        vmstat	 			# 시스템의 메모리, CPU 사용률, I/O 활동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
        
        cat /proc/meminfo 	# 메모리 사용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가상 파일

         

        VIRT

        • 프로세스가 사용할 수 있는 전체 가상 메모리 크기.
        • 가상 메모리는 실제 메모리와 직접적인 상관이 없으며, 스왑 공간과 함께 사용

        RES

        • 프로세스가 실제로 사용 중인 물리 메모리 양

        SHR

        • 프로세스가 다른 프로세스와 공유하고 있는 메모리 양
        • 공유 라이브러리나 공유 메모리(SHM) 세그먼트를 의미

        SWAP

        • 시스템의 스왑 공간은 물리 메모리가 부족할 때 디스크를 메모리처럼 사용하는 공간
        • 자주 사용되지 않는 메모리 페이지가 스왑으로 이동하여 물리 메모리를 확보

        'OS >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OpenSSH, SSHD 접속 과정  (0) 2025.01.13
        nologin  (0) 2025.01.13
        패스워드 정책 위치 및 설정 명령어  (0) 2025.01.13
        하드링크와 소프트링크  (0) 2025.01.13
        리눅스 표준 입출력과 리디렉션  (0) 2025.01.13
        다음글
        다음 글이 없습니다.
        이전글
        이전 글이 없습니다.
        댓글
      조회된 결과가 없습니다.
      스킨 업데이트 안내
      현재 이용하고 계신 스킨의 버전보다 더 높은 최신 버전이 감지 되었습니다. 최신버전 스킨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페이지로 이동하시겠습니까?
      ("아니오" 를 선택할 시 30일 동안 최신 버전이 감지되어도 모달 창이 표시되지 않습니다.)
      목차
      표시할 목차가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 감사해요
        • 잘있어요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