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SL 설치 과정 중 문제 해결, VSCode 문제 해결 방법2024년 12월 24일
- imaginaring
- 작성자
- 2024.12.24.:59
우선, 작업관리자에서 가상화 기능이 켜져있는지 확인하자
가장 간편한 해결상황일것이다.
꺼져 있다면, 내 기기가 가상화 기능 지원하는지 확인하자, 지원된다면 바이오스든 어디서든 기능을 활성화하자
wsl 설치 중 무한재부팅 현상 발생시 확인사항
한성노트북 TFX4470H 모델의 경우 20년 생산된 초기 메인보드의 경우 설치시 무한재부팅 되는 현상이 있다
6시간가량 터트리고 복구하고 하다가 겨우 찾았다..(윈도우 업데이트, 칩셋 드라이버 업데이트, 리눅스 버전 별 설치 다 해도 해결이 안된다, 심지어 에러코드 볼수도 없이 0.01초 블루스크린 후 재부팅 후 0.01초 블루스크린;;
고조..?)
제조사 홈페이지의 바이오스 업데이트 내역에 가상화 관련 문제가 해결된 바이오스 버전이 있더라.
바이오스 업데이트 이후 문제 없이 아주 잘 된다
WSL로 리눅스 설치 과정 중 무한재부팅 현상이나 무언가 문제가 있다면 바이오스 업데이트도 머릿속에 떠올릴 수 있는 사람이 되자..(?), 물론 극단적인,, 딱 봐도 시스템적인 문제가 있을 경우에만 말이다.파일탐색기 리눅스 폴더 내부에 아무것도 없는 경우
설치가 잘못 되었거나 설치 중 문제가 생긴거니 다시 설치해보자,
그래도 안된다면 사용중인 기기가 가상화를 지원하는지 확인을 해보자
가상화 지원하고, 가상화 옵션도 켜져 있는데도 안된다면 바이오스도 확인해보자... (물론 이경우는 극히 드물것이다)
안에 아무것도 없다면 무언가 잘못된겨.. VSCode 원격 탐색기에서 WSL 대상에 아무것도 안뜨는 경우, 새로고침이나 추가 눌렀을때 해당 에러문 출력되는 상황
" vscode 원격탐색기에서 wsl 대상 새로고침이나 추가 버튼을 누르면 오류 실행 명령 remote-wsl.explorer.refresh: command 'remote-wsl.explorer.refresh' not found. 이는 remote-wsl.explorer.refresh을(를) 제공하는 확장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혹시.. 설치만 하고 접속은 안해보신건가요..?
- 우선 접속해보자. wsl -d <패키지명><-버전>으로 접속해보면 초기 사용자 셋팅을 진행한다
- 확장 재설치는 별 의미 없을것 같지만 그래도 혹시 모르니 원격탐색기를 재설치 해보자
- 그리고 종료 후 재확인
나는 기종마다 설치 이후 첫 접속되는 사용자가 달랐다.
- 루트 계정으로 첫 접속이 되는 경우
- 루트에서 계속 쓸거 아니면 사용자 계정을 생성하고 권한을 부여한 이후 사용자로 접속하자
- 사용자 계정으로 첫 접속이 되는 경우
- 사용자 계정으로 접속이 되어 사용자에 권한을 부여하려고 루트로 접속하려는데 비밀번호가 안맞다.. (설정한 적이 없는데?)
- 맞다. 설정한 적이 없다. 이럴 경우 루트에 초기 비밀번호를 초기화해주자 : sudo passwd root
'OS >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login (0) 2025.01.13 패스워드 정책 위치 및 설정 명령어 (0) 2025.01.13 하드링크와 소프트링크 (0) 2025.01.13 리눅스 표준 입출력과 리디렉션 (0) 2025.01.13 우분투에 mysql 접속시 문제상황 (0) 2024.12.26 다음글이전글이전 글이 없습니다.댓글